목록Front-end (3)
탕스로그

반응형 웹을 만들기 위해 desktop, mobile 을 이름으로 한 css 속성을 정의하고 페이지 컴포넌트 내에서 필요한 부분에 사용함으로써 반응형 웹을 제작하려고 했었다. ❗️ 오류가 났었던 코드 1. desktop, mobile css 정의 - 기준 1024px import { css } from '@emotion/react'; export const desktop = css` display: flex; @media (max-width: 1023px) { display: none; } `; export const mobile = css` display: none; @media (max-width: 1023px) { display: flex; } `; 2. 원하는 부분에 CSS 적용 import { ..

이제까지 내가 한 프로젝트는 전역상태관리를 모두 다르게 진행했다. 간단하게 말해보자면, 1. 토이프로젝트 / Redux 사용이유 ) 그 당시 팀 내 프론트엔드 리드님이 Redux만 써보셨는데, 다른 팀원들이 다 프론트엔드 입문자여서 리드님을 따라감.. 별 이유는 없지만 그 당시에선 이게 최선이었던 것 같다. 상태관리보다 일단 페이지 완성이 최우선이었던 작고 소중한 첫 프로젝트.. 2. 동아리 웹페이지 / 전역상태관리 안함 유저가 로그인하는 곳이 딱히 없었고 전역관리를 해야할 정보가 딱히 없었다. 그때그때 서버에 요청해서 필요한 리소스를 받아오고 그걸 바로 사용했다. 불필요하게 전역상태관리를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되어 안했는데, 잘 한 선택인 것 같다. 3. CEOS 16기 스터디 과제들 / Recoil ..

모노레포란?? 여러 개의 다른 프로젝트 코드를 하나의 repo에서 관리하는 전략이다. 왜 구축하게 되었는가?? 신촌 연합 IT 동아리 CEOS 16기에서 프론트엔드 스터디 커리를 진행하면서, 팀 프로젝트를 제외하고도 5개의 레포지토리가 생성되었다... 이 5개의 레포지토리는 1개의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레포, 3개의 react 레포, 1개의 next.js 레포로 구성되어있는데, 뭔가 이 레포지토리들을 하나의 레포지토리로 합병해서 관리할 수는 없을까... 하던 중 모노레포 시스템을 알게되어 바로 적용해보게 되었다.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레포는 node_modules를 관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모노레포 시스템의 의도와는 맞지 않으나 단순히 나의 편의성을 위해 다른 레포들과 같이 모노레포로 관리하게 되었다. 그..